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테슬라34

테슬라 2022년 8월 중국 판매 인도량 발표 어제 한국시간으로 오후 5시에 중국승용차협회(CPCA)에서 테슬라 2022년 8월 중국 판매 인도량 발표했다. 테슬라 2022년 8월 중국 판매 인도량 전체 : 76,965대 모델 Y : 62,169대 모델 3 : 14,796대 중국 내 판매 : 34,502대 수출 : 42,463대 8월 테슬라 중국 판매량은 6월 판매량 78,906대에 이어 사상 두 번째로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이는 1년 전 44,264대보다 73.88%, 7월의 28,217대보다 172.76% 증가한 수치이다. CPCA 인도량 예상은 77,000대였으며 실제 인도량은 76,965대로 거의 근접했다. 전년 동월 대비 74% 증가한 인도량으로 아주 준수한 성적이다. 이번 8월의 경우 모델 3 생산라인 증설로 인해 8일간 Shut do.. 2022. 9. 9.
테슬라 레버리지 ETF(TSLL, TSL) 지난 7월 AXS Investment은 개별 종목에 대한 레버리지/인버스 ETF를 출시했다. 이후 Direxion과 GraniteShares에서도 개별 종목에 대한 레버리지/인버스 상품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미국에서 여러 단일종목 ETF들이 승인돼서 상장되고 있는데, 영국과 같이 3배 레버리지는 너무 위험해서 허가를 안 해주고 1.5배 정도까지 승인이 나는 모습이다. 그래서 오늘은 테슬라 레버리지 ETF(TSLL, TSL)에 대해 알아보겠다. 경고⚠️ 이 글은 투자권유 글이 아니며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테슬라 레버리지 ETF - TSL GraniteShares 1.25x Long Tesla Daily ETF 운용사 : GraniteShares 순자산 : $0.8M(약.. 2022. 9. 7.
테슬라 일론머스크 트위터 인수 철회 오늘 2022년 8월 30일 일론머스크의 이름으로 SEC에 한 공시가 올라왔다. 내용은 일론머스크의 트위터 인수와 관련된 사항을 보고하는 내용의 공시이다. 먼저 일론머스크와 트위터는 일론머스크가 2022년 7월 8일 M&A를 종료한다는 통보를 한 뒤에 트위터 측의 반발로 인해 M&A 계획에 중요한 조항이었던 봇(Bot) 계정이 5%를 넘는지 안 넘는지를 가지고 다툼을 하면서 법정공방까지 진행하고 있는 것을 테슬라 투자자라면 다들 알고 계실 거다.(모르고 계신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란다.) 테슬라 일론머스크 트위터 인수 계약 파기 오늘 일론머스크가 57조 원 규모의 트위터 인수 계약을 파기한다고 선언했다. SEC에 보낸 서한에서 일론머스크는 트위터에 대해 “거짓이고 오해의 소지가 있는” 진술을 했다.. 2022. 8. 31.
테슬라 주식 3:1 분할 완료 삼백슬라 오늘 마침내 테슬라 주식이 3:1 주식분할 이후 첫 거래가 시작되었다. 8월 25일 새벽 891.29달러로 거래가 마감되었던 테슬라 주가는, 3:1인 분할 비율에 따라 297달러 선에서 거래가 시작되었다. 테슬라가 주식분할을 하는 것은 2020년 8월 5:1로 분할한 이후 2년 만이다. 먼저 내가 이용하는 kb증권에서 한국시간 2022년 8월 25일 목요일 프리마켓 개장 전 테슬라 3:1 주식분할이 반영된다는 공지가 있었고, 오후 3시경 증권사 앱을 확인해보니 주식분할이 반영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에 공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증권사 반영 오류로 인해 무려 571%의 수익률을 보고 잠시나마 기분이 좋아서 캡처해놓았지만 시간이 지나 실제로 볼 수 있을 거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평가액은 그대로지만.. 2022. 8. 25.
일론머스크 테슬라 주식 매도 지난주 TSLA의 급락이 일론 머스크의 매도 때문이었던 것 같다. 9일(현지시간) 일론머스크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최근 테슬라 주식 792만 주가량을 매도했다. 주당 매도 가격은 869달러 전후로 총 69억 달러이다. 8월 5일(금) : 330만 주 매도 8월 8일(월) : 158만 주 매도 8월 9일(화) : 304만 주 매도 총 : 792만 주(69억 달러, 한화 약 8조 9천억) 앞서 일론머스크는 지난 4월에도 테슬라 965만 주 85억 달러 가량을 매도한 바 있다. 매도 후 더 이상 추가 매도 계획은 없을 거라 말했는데 4개월 만에 또 매도해버렸다. 매도하지 않겠다고 했으나 매도한 것은 조금 아쉬운 부분이나 많이 매도했음에도 일론머스크는 테슬라 주식을 보유 수량의 .. 2022. 8. 10.
테슬라 2022년 7월 중국 판매량 2022년 7월 테슬라의 중국 시장 판매량이 발표됐다. 중국 승용차 협회(CPCA)가 오늘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7월 테슬라의 중국 시장 판매량은 28,217대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테슬라 7월 중국 판매량 전체: 28,217대 (6월:78,906, 5월:32,165, 4월 22,340) 예상치: 30,000대 중국 내 판매: 8,461대 수출: 19,756대 28,717대 중에 수출차량은 19,756대이며 중국 현지 소비자에게는 8,461대가 판매되었다. 예상치는 3만 대였으나 그 보다 살짝 못 미치는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19,756대의 모델 3과 모델 Y를 수출했으며 6월에는 78,906대를 판매하고 968대를 수출했다. 중국의 7월 전체 승용차 판매는 전년대비 20.1% 증가했으며 전기차 판매.. 2022. 8. 9.
테슬라 주주총회 요약 및 Q&A 3대1 주식 분할 테슬라가 2년 만에 또 주식 분할에 나선다. 테슬라는 4일(현지시간) 텍사스 본사에서 연례 주주총회를 열고 3대1 주식 분할을 승인했다. 아래에서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정리하겠다. 주주총회 요약 역대 가장 많은 투자자들이 참여해줬다. 투표해주신 모든 분들과 주총에 참여해주시는 모든 분들에게도 감사드린다. 여러분의 지원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테슬라는 없었을 것이다. 재생 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2030년까지 매년 2,000만 대의 차량을 판매하고자 한다. 6월은 역대 최고 생산량을 기록한 달이다. 테슬라는 점점 더 많은 전력을 생산하고 있고 재생에너지를 통해 모든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다. 작년엔 4 GWh 에너지 제품을 판매했고, 그것은 3백만 가정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 2022. 8. 5.
테슬라 3배 레버리지 삼슬라 종류와 주의사항 테슬라의 수익을 3배로 벌 수 있는 레버리지 상품을 소개하려고 한다 흔히 '삼슬라'라 불리는 테슬라 3배 레버리지 종류와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다. ⚠️주의 삼슬라는 위험성이 높은 상품입니다. 이 포스팅은 투자권유 글이 아닙니다. 테슬라 3배 레버리지 종류 국내에서 많이 투자하는 테슬라 3배 레버리지 ETF(삼슬라)는 Leverage Shares 3x Tesla ETP (TSL3)와 GraniteShares 3x Long Tesla Daily ETP (3LTS) 2가지가 있다. 두 ETF 모두 영국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며 TSL3는 Leverage Shares Public Limited, 3LTS는 GraniteShares Financial PLC라는 회사에서 운용하는 ETF이다. 두 ETF의 큰 .. 2022. 8. 3.
테슬라 3배 레버리지 삼슬라 사는 방법 테슬라의 수익을 3배로 벌 수 있는 레버리지 상품을 소개하려 합니다. 흔히 '삼슬라'라 불리는 테슬라 3배 레버리지 사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파생 ETF 거래를 신청하는 방법을 설명해 놓았으므로, 삼슬라(테슬라 3배 레버리지) 이외에도 관심 있는 ETF/ETP 상품들을 매수하기 위해 참고해도 좋다. 경고⚠️ 삼슬라는 위험성이 높은 상품입니다. 이 글은 투자권유 글이 아니며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계좌 만들기 삼슬라는 아무 증권사에서나 살 수가 없고, 취급하는 증권사가 따로 있다. 삼슬라를 취급하는 증권사는 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나무증권 이렇게 3가지인데,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삼성증권이다. 삼성증권을 통한 계좌 개설 방법을 아래 링크에 설명해놓았으니 참고하.. 2022. 8. 1.
테슬라 2022년 2분기 실적발표 및 어닝콜 주요내용 2022년 2분기 테슬라 실적 2022년 2분기 테슬라 실적이 발표되었다. 매출은 169억 달러로 전년대비 42% 증가했으며 기대치를 거의 그대로 달성했고, EPS (주당순이익)도 예상보다 0.41$ 높게 나오며 2.27달러로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면서 어닝비트를 기록했다. 중국의 제로 코비드 정책으로 인한 상하이 공장 폐쇄를 포함하여 제한된 생산 환경에서도 전년 동기 대비 매출 42% 증가했으며 총마진율 25% 유지했지만, 지난 분기 29%였던 총마진율이 이번 분기에는 25%까지 4%가량 감소했다. 특히 14.6%의 영업이익률은 작년 대비 0.89% 상승했고, 높은 원자재와 상하이 봉쇄로 인한 고정 비용 증가한 부분을 차량 인도량의 증가와 평균 차량 판매 가격 인상으로 커버하며 매출을 끌어올렸으나 .. 2022. 7. 21.
미국 나스닥 최초 테슬라 인버스 ETF 출시 올해 시장 변동성이 커지며 유난히 레버리지와 인버스 거래가 예년 대비 많아졌다. 레버리지와 인버스를 이용한 기적 같은 타이밍 매매는 정말 어렵지만, 그럼에도 매크로 상황으로 많이 빠진 주식에 대한 레버리지 매수 전략 혹은 추세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 주식에 대한 인버스 전략에 대한 관심은 아주 높다. 유럽에는 이미 테슬라 3배 레버리지와 인버스와 같은 종목이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미국 시장에서는 AXS Investment가 투자자 손실에 대한 SEC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난 2월 테슬라나 엔비디아 등 특정 종목에 대한 2배 레버리지/인버스 ETF 출시를 신청했었다. 이에 최근 SEC에서 AXS Investment가 지난 2월에 제출했던 개별 종목 2배 중심의 상품 리스트를 수.. 2022. 7. 14.
테슬라 AI 총 책임자 안드레 카파시 퇴사 테슬라의 Artificial Intelligence (AI) 팀의 Senior Director인 안드레 카파시가 트위터를 통해 테슬라를 떠난다고 발표했다. 인공지능, 자율주행팀을 총괄했던 책임자인 안드레 카파시는 2011년~2016년까지 박사과정 학생으로서 스탠포드에서 새로운 CNN/RNN 설계와 컴퓨터 비전, 자연어 처리 및 이들 사이 교차 응용에 대한 박사논문을 냈다. 이미지를 언어로 번역하거나, 자연어를 기반으로 하는 이미지 검색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의 커리어로는 구글에서 2011년, 2013년 유튜브 동영상을 위한 비지도 딥러닝/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여름 인턴을 두 차례 마쳤고 이후 2016년 오픈AI의 창립멤버 중 한 명으로서 들어갔다. 2017년 6월부터 테슬라 AI팀 이사로서 부임 후 .. 2022. 7. 14.
테슬라 일론머스크 트위터 인수 계약 파기 오늘 일론머스크가 57조 원 규모의 트위터 인수 계약을 파기한다고 선언했다. SEC에 보낸 서한에서 일론머스크는 트위터에 대해 “거짓이고 오해의 소지가 있는” 진술을 했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트위터와의 인수 계약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트위터 측에서 가짜와 스팸 계정이 차지하는 비율이 5% 미만이라고 주장하였지만 이를 믿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4월 25일에 트위터를 인수하기로 동의 한 일론머스크는 SEC에 분기별로 보고되는 지표인 트위터의 수익 창출 가능한 일일 활성 사용자(mDAU) 중 봇, 자동화 또는 스팸 계정 등 사람이 아닌 사용자의 비율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트위터 측에 2달 넘게 요구하였으나 트위터가 여기에 응답하지 않았고 인수의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해주기로 계약에 명시되어있지만 이 의.. 2022. 7. 9.
테슬라 2022년 2분기 생산량 발표 및 역대 2분기 인도량 테슬라 2022년 2분기 생산량 발표 테슬라 2022년 2분기 생산량 및 인도량 - 생산 : 258,580대 - 인도 : 254,695대 테슬라 2022년도 2분기 인도량과 생산량이 발표됐다. 상하이 봉쇄 장기화에 따라 부품 공급에 차질을 빚으면서 지속적인 공급망 문제와 자체적으로 통제할 수 없는 공장 폐쇄 등 이런 안 좋은 상황에 2분기가 결코 쉬운 분기가 아니였다고 생각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정도의 수치를 생산하고 인도했다는 점이 충분히 잘했다 생각한다. 이번 분기 인도량 덕분에 단기적으로 주가가 크게 상승할 것이라 말하기는 힘들겠지만 인도량으로 인한 악영향은 크게 없을 것이라 예상된다. 어려운 분기 충분히 잘 이겨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 같다. 월가 컨센서스랑도 거의 근접하게 맞았다. 그냥 .. 2022. 7.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