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미국 8월 PPI(생산자물가지수) 발표

by yesjaeminvest 2022. 9. 14.
반응형

어제 CPI(소비자물가지수) 발표에 이어서 오늘 미국 8월 PPI(생산자물가지수)가 발표됐다. 어제 발표된 CPI와 동시에 PPI 역시 인플레이션의 선행지표로 간주된다. 현재 시장은 어제의 큰 폭의 하락으로 인하여 더 이상 추가 하락은 보이지 않고 눈치싸움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래에서 미국 8월 ppi 발표 내용과 근원 ppi까지 확인해보겠다.

미국-8월-ppi-지수
ppi


PPI(생산자물가지수)


전월 = -0.4
예상 = -0.1%
8월 실제 = -0.1%

8월 PPI는 시장예상치인 -0.1% 그대로 딱 맞게 나왔다. 두 달 연속 하락하며 가격이 정점에서 내려오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연속으로 하락한 것은 지난 2020년 초반 이후 처음이다. 8월 PPI는 전년 동기 대비로는 8.7% 올랐지만 전월 9.8% 상승에 비해 상승폭이 둔화됐다.

 

Core PPI(근원 생산자물가지수)


전월 = 7.7%
예상 = 7.1%
8월 실제 = 7.3%

근원 생산자물가지수는 예측인 7.1% 대비 0.2% 포인트 높게 나왔다. 근원 생산자물가지수는 식품 및 에너지를 제외하고 생산자가 판매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화를 측정한 수치를 보여준다. 즉, 판매자의 입장에서 물가 변동을 측정하여 수치로 보여준 것이다. 근원 생산자물가지수가 높은 경우 상품이나 서비스에 드는 비용이 증가해 결국 소비자에게 비용이 전가되는 가능성이 크다.


이번 생산자물가 상승률 둔화는 대부분 에너지 가격 하락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에너지 부분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보이면서 PPI 지수는 기준치로 나오고, 에너지 부분이 빠진 근원 PPI 지수는 상승한 것으로 보여진다.


✔️참고하면 도움이 되는 글

 

미국 8월 CPI(소비자물가지수) 발표

방금 전, 다음 주 9월 FOMC 금리인상에 많은 영향을 미칠 중요 지표였던 8월 CPI(소비자물가지수) 발표가 있었다. 미국 증시는 cpi 발표 전 프리마켓에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발표함과 동시

yesjaeminvest.tistory.com

 

미국주식 알아야 할 주요 경제지표

미국주식 투자 시 중요하게 볼 것 중 하나는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전반적인 경제상황과 산업동향 등 각종 지표이다. 각종 지표들을 해석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면 보다 전략적인 투자가

yesjaeminvest.tistory.com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8.5% 생산자물가지수(PPI) 9.8%

어제 8월에 있는 주요 경제지표 발표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어제 발표됐고, 방금 전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발표됐다. 앞으로 있을 연준의 경제 정책과 증시

yesjaeminvest.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