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서 9월 베이지북을 발표했다. 9월 베이지북 내용을 살펴보고, 연준의 통화 정책 결정에 중요한 자료인 베이지북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베이지북
베이지북이란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서(FRB) 연간 8차례 발표하는 미국의 경제동향 종합보고서를 의미한다. 연준은 한해에 총 8회의 베이지북을 발간한다. 이 베이지북의 발간 목적은 12개의 지역에서 조사된 경제 활동에 대한 정성적인 내용을 모아서 미국 전반의 경제 활동이 어떠한 지를 확인 및 알리는 목적으로 작성된다.
(보스턴, 뉴욕, 필라델피아, 클리블랜드, 리치몬드, 애틀란타, 시카고, 세인트 루이스, 미니에 폴리스, 캔자스 시티, 달라스, 샌프란시스코)
위 미국의 12개 지역에 모든 경기지표가 분석되어 있는 자료로써 FOMC에 참고 자료가 되기 때문에 통화 정책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베이지북은 1980년대부터 공개적으로 발간을 시작했는데 그 표지가 베이지색이라고 하여 베이지북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베이지북 보는 법
구글에서 FED를 검색해서 바로 베이지북을 눌러서 들어가도 되고, 아니면 사이트 메뉴에서 Monetary Policy를 선택하고 세부 메뉴에서 Beige Book을 선택한다.
아래로 내려가면 22년 베이지북 공개 일정에 맞춰서 HTML과 PDF가 올라오는데 여기서 해당 날짜의 PDF를 다운로드하여서 읽으면 된다. 베이직북을 열어보면 12개의 지역에서 올라온 데이터가 각 페이지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시간이 많으면 다 살펴보면 좋겠지만 앞부분의 Summary만 봐도 충분하다.
9월 베이지북 주요 내용
전반적 경제 활동
- 7월 이후 소비자의 지출이 꾸준히 일어남
- 여러 지역에서 제조 활동이 증가했지만 공급망의 중단과 노동력의 부족으로 생산량은 감소
- 전체 지역에서 주택 판매는 감소하고, 주택 건설의 제약으로 부동산 시장은 눈에 띄게 약화
- 금융 기관은 신용카드 및 산업 대출에 대한 강한 수요를 보고 했지만 주택 대출 수요는 모기지 금리 상승으로 약세
- 에너지 제품에 대한 수요는 견실했지만 공급망 문제로 생산이 제약을 받았으며 향후 6~12개월 동안 수요는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 속에서도 미래 경제 성장은 전반적으로 약한 상태를 유지
노동시장
- 대부분의 지역에서 완만하거나 적당한 속도로 증가했지만, 전체적으로 노동 시장은 여전히 빡빡
- 고용주들의 직원 유지율은 향상되었으며, 모든 지역에서 임금이 인상
- 높은 생활비를 감당하기 위해 비정기적인 보너스, 유연근무, 포괄 혜택 제공이 근로자 유치에 필요
- 앞으로 고용주는 근로자에게 연말 임금 인상을 제공할 계획
물가
-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9개의 지역에서 다소 완만
- 음식, 임대료, 유틸리티, 서비스는 모든 지역에서 가격이 인상
- 제조 및 건설 투입 비용은 계속 상승
- 연료 가격 하락과 전반적인 수요 감소는 비용 압력과 화물 운송료를 완화
- 몇몇 지역에서는 철강, 목재 및 구리 가격이 일부 하락
- 대부분 가격 압력이 적어도 연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
9월 베이지북에서 주목할 점은 물가 상승 둔화와 부동산의 둔화, 빡빡한 노동 시장이 일부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임금 상승이 진행 중이라는 점이다. 연준이 금리를 올리면서 부동산은 바로 타격이 갔지만 노동 시장과 물가는 아직 서서히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준이 기대 인플레이션의 증가를 막기 위해서는 아직도 강한 금리 인상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어제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의 발언에서 과잉 긴축에 대해 우려를 표현한 것을 보면 연준 내에서도 너무 강한 긴축에 대한 걱정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긴축 재정이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고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서 정책 금리(통화정책)를 완화할 수 있는 시기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다음 주에 발표되는 소비자 물가 지수를 포함한 경제 지표들에 따라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가 영향받지 않을까 생각한다.
✔️참고하면 도움이 되는 글
미국주식 알아야 할 주요 경제지표
미국주식 투자 시 중요하게 볼 것 중 하나는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전반적인 경제상황과 산업동향 등 각종 지표이다. 각종 지표들을 해석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면 보다 전략적인 투자가
yesjaeminvest.tistory.com
7월 FOMC 발표 금리 75bp 인상
7월 FOMC 회의 결과 연준이 금리를 75bp 인상하였다. 이번 금리인상이 만장일치로 진행된 점도 눈에 띄는 모습이다. 2회 연속 75bp를 인상하였으며, 심각한 경기 침체를 피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발표
yesjaeminvest.tistory.com
FOMC 의사록 정리와 잭슨홀 미팅의 의미
미국 증시는 올해 한차례 하락장을 겪은 이후, 잠시의 반등장이 왔으나 또다시 변곡점을 앞두고 있다. 지난주 각종 지수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8월 2주 차에 상승한 것에 비해선 8월 3주 차
yesjaeminvest.tistory.com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8월 CPI(소비자물가지수) 발표 (1) | 2022.09.13 |
---|---|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정리 (0) | 2022.09.09 |
미국주식 남은 휴장일 (노동절, 추수감사절, 블랙프라이데이) (0) | 2022.09.05 |
미국 8월 고용지표(비농업고용지수, 실업률) 발표 (0) | 2022.09.02 |
원달러 환율 1350원 돌파 (1) | 2022.08.30 |
댓글